.shape: numpy배열에서 객체의 차원에 대한 구성 정보 반환
1차독립: m개의 벡터들의 1차결합에서 모든 스칼라 값이 0일때만 1차결합=0이 성립하는 벡터집합
rank(행렬의 계수): 행렬A에서 1차독립인 행벡터의 최대수를 A의 계수(rank)라고 하며, rank A로 나타냄
-KREYSZIG공업수학
rank=1 일때 (요소 개수, )
rank=2 일때 (행, 열)
rank=3 일때 (행렬의 개수, 행, 열)
rank=n 일때 (n차원의 행렬 개수, n-1차원의 행렬개수,..., 3차원의 행렬개수, 행, 열)
tensor_rank5 = [
[[
[[1,2,5,8],[1,2,5,8],[1,2,5,8]],
[[1,2,5,8],[1,2,5,8],[1,2,5,8]],
[[1,2,5,8],[1,2,5,8],[1,2,5,8]],
[[1,2,5,8],[1,2,5,8],[1,2,5,8]],
[[1,2,5,8],[1,2,5,8],[1,2,5,8]]
]]
]
np.array(tensor_rank5,int).shape
>(1, 1, 5, 3, 4)
몇차원인지 쉽게 알려면 [ ] 가 몇 쌍인지 세보자
shape[숫자] = n차원의 행렬개수 or 행 or 열
.ndim: rank값 반환
np.array(tensor_rank5, int).ndim
>5
.size: 배열의 모든 데이터 개수 반환
np.array(tensor_rank5, int).size
>60
#4*3*5=60
T: 행렬의 전치
전치행렬은 주어진 행렬의 행들을 열들로 (혹은, 열들을 행들로) 나타내어 얻어진다.
이것은 물론 벡터에 대해서도 적용되어, 행벡터는 열벡터가 되고 열벡터는 행벡터가 된다.
-KREYSZIG공업수학
x = np.arange(1,16).reshape(-1,3)
print(x)
print()
print(x.T)
>[[ 1 2 3]
[ 4 5 6]
[ 7 8 9]
[10 11 12]
[13 14 15]]
[[ 1 4 7 10 13]
[ 2 5 8 11 14]
[ 3 6 9 12 15]]
'nump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nes & zeros & empty (0) | 2022.03.24 |
---|---|
arange (0) | 2022.03.22 |
indexing & slicing (0) | 2022.03.20 |
reshape, flatten (0) | 2022.03.19 |
array (0) | 2022.03.18 |